General

깨달음과 자유함, 그리고 중도의 의미!

부처님 오신 날에도 등을 켜지 않고, 법당에서는 재(齋)와 불공 없이 오직 법문과 참선 수련만 하는 절이 있다. 경북 봉화 문수산에 있는 금봉암이다. 기복보다는 부처님의 말씀을 되새기는 청복(淸福)을 닦자는 고우 스님(隱庵古愚, 1937~2021)의 수행가풍이다.

고우 스님은 소박하고 지성을 갖춘 이 시대의 마지막 선승이었다. 학식이 뛰어나진 않으나 체득한 혜안으로 막힘이 없이 불법의 근본 자리를 현대인들에게 쉽게 설했다. 회통의 원리를 그대로 보여주신 분이다.

“불교가 추구하는 궁극의 인간형은 자유인이다. 달리 말하면, 자유인이 되기 위해서는 깨달음에 이르러야 한다.”

그런데 고우 스님은 “설사 깨닫지 못한다 해도 이치를 아는 것만으로도 상당한 자유를 누릴 수 있다”고 한다.

“이치란 ‘존재의 원리’로, 본질을 볼 수 있는 시선이다.” 스님은 그것을 ‘중도의 연기’로 칭했다.

궁극적으로 불교를 이해하는 마음과 바뀌는 마음과 생활하는 마음은 따로 분리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시각만 바꿔 어떤 고정관념과 주관과 객관을 깨뜨린다면(중도의 자리를 이해한다면) 따로 수행할 필요도 없다”고 했다.

“불교는 이해가 있고 깨달음이 있는데, 깨달음은 굉장히 어렵다. 그러나 이해를 바탕으로 깨달음에 간다면 그에 상응하는 단계만큼 생활에 변화가 온다.

“업은 내가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 죄의식이지요. “본질을 이해하는 순간 업은 없어지고 모든 죄의식으로부터 해방되죠.” 업은 실재가 아니라 허구이자 착각의 세계입니다. 다른 종교는 원죄가 있다고 주장하지만 불교는 업도 없고 죄도 없는 것입니다”로 답했다.

우리 모두 백척간두(중도 마음자리)에 올라 고우 스님의 가르침대로 진정한 참선의 길을 걸었으면 한다.

ㅡㅡㅡㅡㅡ

http://www.bulkwang.co.kr/news/articleView.html?idxno=38258&fbclid=IwAR2Y8OJf_JdoiKd3lQ6H8SbhWJtd_U-TQfodXvxVfRet6q0XUksqLgjc7aA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